Note/JavaScript43 타입 변환 / 단축 평가 타입 변환 : 개발자가 의도적으로 값의 타입을 변환하는 것. 명시적 타입변환 또는 타입 캐스팅이라고 한다 암묵적 타입 변환 : 개발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코드의 문맥을 고려하여 암묵적으로 데이터 타입을 강제 변환한다. 문자열 타입으로 변환 1 + '2' // 숫자 + 문자열 : 3이 아닌 '12' 라는 문자열로 변환 숫자 타입으로 변환 : 피연산자를 숫자 타입으로 암묵적 변환한다. 단, 피연산자를 숫자 타입으로 변환할 수 없는 경우 평과결과는 NaN이 된다. '1' > 0 // true 3 - '1' // 2 2 * '5' // 10 6 / 'three' // NaN +'' // 0 +'3' // 3 +true // 1 +null // 0 불리언 타입으로 변환 : 제어문 혹은 삼항 연산자의 조건식과 같이 .. 2024. 1. 24. 제어문 제어문 : 일반적으로 코드는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실행되지만, 코드의 실행 흐름을 인위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제어문을 사용한다. 블록문 : 0개 이상의 문을 중괄호 { } 로 묶은 것. { var x = 1; } 조건문 if … else 문 : 주어진 조건식의 평가 결과가 참 또는 거짓에 따라 실행할 코드 블록을 결정한다. true일 경우 if문, false일 경우 else 문의 코드 블록이 실행된다. 형식) if (조건식1) { 실행할 코드1; } else if (조건식2) { 실행할 코드2; } else { 실행할 코드3; } 그리고 대부분의 if문은 삼항 조건 연산자로 바꿔 쓸 수 있다. if (x % 2) { result = '홀수'; } else { result = '짝수'; } res.. 2024. 1. 24. 연산자 연산자 : 하나 이상의 표현식을 대상으로 산술, 할당, 비교, 논리, 타입, 지수 연산 등을 수행하여 하나의 값을 만드는 것. 피연산자 : 연산의 대상. 피연산자는 값으로 평가될 수 있는 표현식이어야 한다. '피연산자 + 연산자’와 같은 조합의 표현식도 값으로 평가될 수 있는 표현식이다. 산술 연산자 : 피연산자를 대상으로 수학적 계산을 수행하여 새로운 숫자 값을 만드는 것. 산술 연산이 불가능할 경우 NaN을 반환한다. 이항 산술 연산자 : 2개의 피연산자를 산술 연산한다. 피연산자의 값이 바뀌는 경우는 없고 항상 새로운 값을 만든다. 이항 산술 연산자 의미 부수 효과 + 덧셈 X - 뺄셈 X * 곱셈 X / 나눗셈 X % 나머지 X 단항 산술 연산자 : 1개의 피연산자를 산술 연산한다. 단항 산술 연.. 2024. 1. 24. 데이터 타입 데이터 타입 : 값의 종류를 말한다. 자바스크립트는 총 7개의 데이터 타입을 제공한다. 원시 타입 숫자(number) : 숫자 형식에 상관없이 숫자 타입만 존재 문자열(string) : 문자열 불리언(boolean) : true, false undefined : var로 선언된 변수의 초기화 값 null : 값이 없을 때 (undefined과는 구분하여야 함) 심벌(symbol) : 고유하고 변경할 수 없는 값을 나타낼 때 사용. Symbol() 함수를 사용. 객체 타입 숫자나 문자열과 같은 데이터 타입들은 당연히 생각하고 있었지만 undefined도 타입으로 분류되는 것은 이번에 알게 되었다. 생각해보면 숫자도 아니고 문자열도 아니고 그 무엇도 아닌 undefined도 정의가 되어야 했었는데 특별히 생.. 2024. 1. 18. 표현식과 문 값 : 표현식이 평가되어 생성된 결과 예시) 1 + 2; 리터럴 :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문자나 기호를 사용해 값을 생성하는 표기법 예시) 3; 다양한 리터럴 2진수 리터럴 - 0b로 시작 : 0b01000001 8진수 리터럴 - 0o로 시작 : 0o101 16진수 리터럴 - 0x로 시작 : 0x41 정규 표현식 리터럴 : /[A-Z]+/g 표현식 : 값으로 평가될 수 있는 모든 문. 곧, 리터럴도 표현식. 문 :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기본단위 그리고 최소 실행 단위 문은 여러 토큰으로 구성된다. 선언문 할당문 조건문 반복문 토큰 : 문법적인 의미를 가지며, 문법적으로 더이상 나눌 수 없는 코드의 기본 요소 예시) 키워드, 시별자, 연산자, 리터럴, 세미콜론, 마침표 등 세미콜론 : 문의 종료를 나타낸다.. 2024. 1. 16. 변수 변수란? : 값을 저장하기 위해 확보한 메모리 공간들을 식별하기 위해 붙인 이름 구조의 예시 : result(변수) - 0x0669F913(메모리 주소) - 30(메모리 값) 변수를 사용하는 이유 : 운영체제에 영향이 가거나 그 외 다른 문제가 생기지 않게끔 하면서 중복된 결과값을 재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메모리 직접 접근이 아닌 변수 선언을 통해 값을 관리한다. 변수 선언 변수 선언 키워드 : var, const, let 변수 선언의 과정 : 선언 단계 → 초기화 단계 예시) var a1 선언 → a1의 메모리 공간에 ‘undefined’ 값이 할당되며 초기화 초기화를 하는 이유 : 초기화를 하지 않으면 다른 애플리케이션이 사용했던 값(쓰레기 값)이 남아 있을 수 있기 때문 자바스크립트 변수의 특징.. 2024. 1. 16. 이전 1 ··· 4 5 6 7 8 다음 반응형